해넘이·해맞이 산행,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연말연시 해넘이와 해맞이를 위해 늦은 오후나 이른 새벽 산에 오를 때 실족 등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요청됩니다.

연말연시 산행을 준비할 때는 건강 상태와 방한용품 등을 꼼꼼히 확인하고, 산행 시 기본질서와 안전수칙을 잘 지켜 안전하게 해넘이·해맞이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연말연시 등산사고 현황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2년간(’20~’21년) 연말연시(12~1월)에 발생한 등산사고는 1,758건이며, 해맞이 산행을 하는 1월 1일에 가장 많이 발생(75건)했습니다.

<12월~1월 일자별 등산사고 현황(‘20~’21)>

출처: 재난연감, 행정안전부

연말연시 등산사고 원인으로 실족(40%)과 조난사고(26%)가 가장 많지만, 1월 1일에는 실족(37%) 다음으로 신체질환(28%)이 많아 산행 시 체력 안배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연말연시 기간에 따른 원인별 등산사고 비교>

출처: 행정안전부

해넘이·해맞이 등산 안전수칙

  • 산에 오르기 전에는 가벼운 체조로 근육과 인대를 충분히 풀어주고, 하산할 때까지 적당한 체력을 유지합니다.
  • 야간이나 이른 새벽에는 등산로가 얼어 있어 실족이나 추락 등 사고로 이어지기 쉬우니, 눈길·빙판에 대비해 눈길 덧신(eisen)을 반드시 챙깁니다.
  • 해뜨기 직전에는 기온이 가장 낮아 동상․저체온증 등 한랭질환에 노출되기 쉬우니, 덧입을 여벌의 옷과 담요, 따뜻한 차 등을 준비합니다.
  • 가벼운 산행이라도 모자와 장갑 등 방한용품을 꼼꼼히 챙깁니다.
  • 질환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상비약을 챙기고, 몸에 이상 증상이 나타날 때는 즉시 따뜻한 곳으로 이동해 휴식하거나 하산합니다.

– 특히,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저체온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추위 등으로 평소보다 몸이 떨리며 피부가 창백해지고 입술은 청색을 띰

√기면상태에 빠지거나 졸리며 발음 부정확, 중심을 잡기 어렵고 외부자극 무반응 등

  • 눈이 쌓이면 평소 아는 곳이라도 원근감이 떨어지고 등산로 구분이 어려워 조난되기 쉬우니, 길을 잘못 들었을 때는 왔던 길을 그대로 되돌아갑니다.
  • 등산로 곳곳에 설치된 국가지점번호나 등산로 위치표지판을 미리 확인해 조난 등 위급상황 시 자신의 위치를 신속히 알릴 수 있도록 합니다.

해넘이·해맞이 연안 안전사고 주의

충남 태안해경은 2024년 12월 30일부터 2025년 1월 5일까지 대조기 발생에 따라 연안 안전사고 위험 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해넘이·해맞이를 보러 해안가를 찾는 인파가 몰리는 연말연시와 겹친 이번 대조기 기간 조류 흐름이 빠르고 조석 간만의 차가 커져 추락, 고립 등 연안 사고위험이 한층 더 커지는 데 따른 것입니다.

해경은 인파 밀집으로 인한 사고 우려 지역(갯벌, 테트라포드) 출입을 통제하고 긴급 상황 발생 시 즉각 구조가 가능하게 경찰관을 추가 배치하는 등 안전관리·순찰 활동을 강화합니다.

무리한 연안 활동은 자제하고, 연안 활동 시 반드시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구명조끼를 착용하는 등 안전 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특히 해넘이·해맞이 행사 당일 현장에 배치된 안전관리 요원의 안내를 따라야 합니다.


 

Leave a Comment

재난안전이야기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