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사 화재 ‧ 정전 대비 철저

축사 화재로 인해 가축, 축산 시설물 피해가 큰 만큼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집중호우가 잦은 여름철, 축사 화재와 정전 사고 예방을 위해 전기 시설과 배선 설비 등을 꼼꼼히 점검해야 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봅니다.

여름철에는 가축의 고온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축사 내 냉방기와 환기 시설 사용이 급증합니다.

과도한 전력 사용은 누전이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 위험을 불러오기 때문에 각별하게 주의합니다.

축사 화재 발생 현황 및 원인

2023년 전국 축사 화재 발생 건수는 385건이었습니다.

발화 원인은 전기적 요인(49%), 부주의(21%), 미상(15%), 기계적 요인(10%), 화학적 요인(2%), 기타(2%)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2023년 발생한 축사 화재 원인 중 49%가 ‘전기적 요인’으로 나타났습니다.

축사 화재는 주로 전열기구 사용이 많은 상태에서 분진 발생과 물 세척으로 인해 누전이나 합선으로 발생하거나, 전기 용량·규격을 초과하는 추가 전기 설비로 인한 과부하 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불볕더위로 축사 내 냉방기와 환기시설 사용이 늘어나면서 과열에 의한 원인과 정전 등으로 축산 기자재 작동 불능 시 가축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축사 화재 예방법

플러그와 콘센트 상태는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낡거나 손상된 전기 기구는 즉시 교체합니다.

전기 기구의 접촉 상태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동시에 주위에 쌓인 먼지와 거미줄도 제거합니다.

축사에서 사용하는 모든 전기 기구는 안전 인증을 받은 공인 제품을 사용합니다.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콘센트나 소켓 하나에 전기 기구 여러 개를 동시에 연결하지 않습니다.

자동 급이기, 환기 시스템 등 전기 자동화 시설이 설치된 축사에서는 정전이 발생했을 때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신속하게 대응, 조치할 수 있도록 정전 발생 경보기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격전류 초과로 발생하는 전원 공급 차단에도 대비해 주기적으로 점검합니다.

무창형 축사(돈사, 계사)의 경우 정전으로 환기팬 작동이 멈추면 가축의 질식사 위험이 커져 자칫 큰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

비상시에 대비해 평소 소요 전력량의 120% 용량에 해당하는 자가 발전기를 확보하고, 주 1회 이상 연료 점검과 발전기 상태를 확인합니다.

축사 안팎의 전선 피복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쥐와 해충 등이 전선 피복을 훼손하지 못하도록 배관 작업을 철저히 합니다.

비가 잦은 시기에는 배전반과 전기 구동 장치 주변에 물이 새거나 습기가 차지 않도록 점검하고, 누전차단기 작동 여부도 확인합니다.

낙뢰 위험이 큰 고지대나 산간에 있는 축사에는 반드시 피뢰침을 설치합니다.

올여름도 축사 전력 소비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농가에서는 전기 설비를 자주 점검하고 화재 예방에 각별하게 신경 써야겠습니다.

2 thoughts on “축사 화재 ‧ 정전 대비 철저”

  1. 여름철 축사 운영하시는 분들께 좋은 내용입니다.
    위가의 순간 생각은 짧게, 몸이 먼저 반응하도록 수시로 점검하고 행동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응답

Leave a Comment

재난안전이야기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