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휴가철 대비 다중이용시설 화재예방 강화

여름 휴가철 대형화재를 예방하고,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여름 휴가철 대비 다중이용시설 화재예방대책」이 추진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봅니다.

소방청은 때 이른 무더위와 함께 본격 장마가 시작되었고, 여름 휴가철이 겹치면서 휴양시설 여행객 증가, 냉방기기 등 전기제품 사용이 급증하고, 높은 습도로 인한 전기화재 위험 증가 등 화재발생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고 선제적인 대비책을 마련하기 위해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여름 휴가철 대비 다중이용시설 화재예방대책」을 추진합니다.

여름철 화재 발생 현황(`19년~`23년)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19년~`23년)간 여름철(7월~8월) 화재건수는 28,130건으로 전체 화재의 14.5%를 차지하였으며, 사망자는 전체 사망자의 9.7%(151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소방청

여름철(7~8월) 발화요인별 화재발생 현황

여름철 주요 화재원인으로는 부주의(94,076건), 전기적요인(48,631건), 기계적요인(19,917건)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전기적요인에 의한 화재가 25%로, 평월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여름철 화재 4건 중 1건은 전기적요인에 의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는 에어컨, 선풍기 등 냉방용기계 사용 증가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여름철 발화요인별 화재 발생 현황
출처: 소방청

다중이용시설 화재예방대책 추진

7월 1일부터 19일까지를 「1단계 집중점검 기간」으로 정하고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이후 20일부터 8월 31일까지는 「2단계 안정적 관리기간」으로 행정지도를 병행합니다.

1단계 집중점검 기간에는 실내‧휴양시설·숙박시설, 대형판매시설, 공연장, 영화관 등 다중이용업소에 대해 불시점검을 실시하여 △소방시설 차단·폐쇄행위, △피난·방화시설 차단 및 물건 적치 행위, △수신기 기록 정보 등을 확인해 위법사항에 엄정대응 합니다.

냉방기기·전기제품 화재위험 증가에 따라 자율안전점검 및 전문업체를 통한 전기점검 등 주의사항을 당부하고 적극적인 홍보에 나서기도 합니다.

2단계 안정적 관리기간에는 화재취약시설에 대해 정기적으로 현장행정지도를 실시하고, 소방관서와 다중이용시설 간에 안전관리 소통체계를 유지 하고 실시간으로 취약대상에 대한 화재위험정보를 공유합니다.

이른 무더위에 일찍부터 휴가를 떠나는 사람들이 많아진 만큼, 선제적 대비와 예방이 중요합니다.

다중이용시설·여가시설에 대한 선제적인 화재예방대책과 함께 우리 모두가 화재 예방에 앞장선다면 안심하고 즐거운 여름휴가를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여름철 화재예방 행동요령

출처: 소방청

유흥시설 이용 시 사고 예방을 위한 위기 상황 예방수칙

  • 유흥시설은 내부 구조가 복잡한 룸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비상구의 위치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 흡연 후에는 담배꽁초를 함부로 버리지 마세요. 담배꽁초는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과도한 음주는, 위기 상황 시 대처 능력을 저하시키므로 삼가도록 하세요.
  • 이용 전, 피난안전 정보를 통해, 안전시설의 위치와 사용법을 주의 깊게 확인하세요.

유흥시설 이용 중 사고 발생 시 대처방법

  • 먼저 가까운 안전시설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도록 노력하세요.
  • 비상벨을 눌러 건물 전체에 위험 사실을 알리고, 즉시 외부로 대피하세요.
  • 옷가지나 수건 등을 물에 적셔, 코와 입을 막아 연기를 마시지 않도록 한 후, 자세를 낮추고 이동하세요.
  • 엘리베이터가 아닌, 비상구나 계단을 통해 외부로 대피하세요.

Leave a Comment

재난안전이야기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