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물놀이용품 안전사고 발생에 주의하세요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맞아 최근 증가 추세에 있는 물놀이용품 안전사고 발생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봅니다.

최근 5년간(2019년~2023년)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물놀이용품 안전사고는 총 290건으로 ‘20년 이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출처: 산업부

출처: 산업부

서프보드·수상스키 안전사고는 20~30대에서 다발해

품목별로는 ‘서프보드’ 안전사고가 182건으로 전체의 62.8%를 차지했으며, ‘수상스키’ 58건(20.0%), ‘물안경·오리발’ 16건(5.5%), ‘구명튜브’ 11건(3.8%)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품목별로 사고 다발 연령대의 차이가 두드러졌는데, ‘서프보드’, ‘수상스키’ 등 활동적인 물놀이를 위한 용품의 안전사고는 ‘20~30대’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물안경’, ‘구명튜브’ 등 안전한 물놀이를 위해 사용하는 용품은 ‘10대 이하’에서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했습니다.

출처: 산업부

물놀이용품 주요 사고 현황 및 사례

안전사고 유형을 분석한 결과, 물놀이 중 물놀이용품에 ‘부딪히는 등 물리적 충격’에 의한 사고가 189건(66.5%)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수상스키 등을 타다가 ‘미끄러지거나 추락하는’ 사고가 51건(18.0%)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물안경의 탄성 재질 줄이 튕겨 안구에 손상을 입는 사고, 스노클링 마스크를 착용하고 잠수를 시도하다가 누수로 인한 안전사고 신고 사례 등도 있었습니다.

특히, 해외에서는 암링자켓(팔튜브)을 잘못 착용하여 어린이가 물에 빠져 사망한 사고 사례도 있어, 암링자켓(팔튜브) 사용 시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요 위해사례

출처: 산업부

물놀이용품 주요 사고 사례

출처: 산업부

물놀이용품 안전사고, 올바른 사용과 안전수칙 준수로 예방할 수 있어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소비자원은 여름철 안전한 물놀이를 위해 ▲ 물놀이 전 물놀이용품의 사용법을 숙지하고 이상 여부*를 확인할 것, ▲ 어린이는 물놀이 시 안전장비(구명조끼, 튜브 등)를 착용하고 보호자와 함께할 것, ▲ 스노클링 시 수심이 너무 깊은 곳으로 가지 않도록 유의할 것, ▲ 물놀이 중에는 주변을 살펴 부딪힘 사고 등에 유의할 것 등을 당부했습니다.

* (물안경·스노클링 마스크 등) 사용 전 발이 닿을 정도의 수심에서 물안경‧스노클링 마스크가 얼굴에 잘 밀착되어 물이 새지 않는지 점검, (구명조끼·튜브 등) 공기 빠짐이 없는지 부력이 충분한지 확인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1. 물놀이 전 주의사항

* (물안경·스노클링 마스크 등) 사용 전 발이 닿을 정도의 수심에서 마스크가 얼굴에 밀착되어 방수가 되는지 점검하고, 마스크 안으로 머리카락 등의 끼임은 없는지 확인

* (구명조끼·튜브 등) 공기 빠짐 현상 및 부력이 충분한지 등을 확인하고, 암링자켓(팔튜브)은 부력튜브가 가슴에 위치하도록 착용

2. 물놀이 시 주의사항

물놀이용품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홍보만화

출처: 산업부

 

Leave a Comment

재난안전이야기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