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 오신 날(5월15일)을 맞아 전통사찰 내 화재 위험 요소를 미리 제거하기 위한 ‘전통사찰 화재예방대책’이 추진됩니다.
사찰은 대부분 오래된 목조 건축물로 화재가 발생하면 연소 확대가 빠르고, 대형산불로 확대될 우려가 큽니다.
국보·보물 등의 문화재를 사찰 내에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화재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찰 관계인을 비롯한 국민 모두가 화재예방을 함께 실천해 안전한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해야겠습니다.
전통사찰 대상(982개) 화재안전조사 실시
소방청은 부처님 오신 날(5월 15일)을 앞두고 4월 22일부터 5월 10일까지 『전통사찰 화재예방대책』을 추진합니다.
대구 동화사 대웅전 등 목조문화재(국보‧보물)가 있는 전통사찰 87개소를 포함해 전국의 982개 전통사찰을 대상으로 화재위험요소를 미리 제거하는 등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합니다.
전통사찰 화재예방교육 및 화재안전 컨설팅
부처님 오신 날과 관련하여 전국 곳곳에서 대규모 연등행사가 예정되어 있는 등 사찰마다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화기 취급 등으로 화재 위험성이 있는 만큼 관계자 대상 화재예방 교육과 화재안전 컨설팅도 병행합니다.
주요 추진사항
△연등 관련 설비 및 화기취급시설 등 안전관리에 대한 화재예방교육
△소화기, 단독경보형감지기 등 기초소방시설 유지관리 상태 확인
△옥외소화전 설비 및 자동화재탐지설비 등 소방시설 관련 작동여부 확인
△사찰 주변 화재위험 요인제거
소방관서장 직접 현장 안전컨설팅 실시
각 소방관서장은 관내 사찰을 직접 방문해 현장 안전컨설팅도 실시합니다.
소방시설 및 방수총 작동훈련을 통해 사찰 관계자들에게 초기화재 대처 방법을 안내하며, 소방차량 진입로 및 차량 부서위치도 미리 확보할 계획입니다.
사찰 화재 최근 5년간(2019~2023)발생 현황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사찰에서 발생한 화재는 총 194건으로, 총 2명이 숨지고 9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최근 5년간(2019~2023) 사찰 화재 발생 현황 > | ||||||||
구 분 | 발생건수 | 인명피해(명) | 재산피해(천원) | 발생건수 | ||||
계 | 사망 | 부상 | 4월 | 5월 | ||||
계 | 194 | 11 | 2 | 9 | 6,531,949 | 10 | 20 | |
2019년 | 46 | 2 | 0 | 2 | 798,954 | 4 | 3 | |
2020년 | 52 | 2 | 0 | 2 | 717,313 | 4 | 9 | |
2021년 | 22 | 0 | 0 | 0 | 2,056,519 | 1 | 3 | |
2022년 | 42 | 5 | 1 | 4 | 1,648,928 | – | 3 | |
2023년 | 32 | 2 | 1 | 1 | 1,310,235 | 1 | 2 |
사찰 화재 원인
화재원인은 화원 및 가연물 방치, 쓰레기 소각 등 부주의가 82건(42.3%)*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적인 요인 55건(28.4%), 원인미상 35건(18.1%), 기타 15건(7.7%), 기계적인 요인 7건(3.6%)순이었습니다.
* 화원 및 가연물 방치, 기기 등 부주의, 음식물조리, 쓰레기 소각 등
사찰 촛불·전기 화재 사례
촛불 화재
- ‘23.1. 전북 군산 사찰 촛불 부주의 화재
- ’22.1. 충남 보령 촛불 부주의 화재
- ‘19.4. 경기 파주 법당 안 촛불 화재
전기 화재
- ‘22.12. 부산 백양산 사찰 부엌 전기합선 화재
- ’22.10. 부산 강서구 사찰 기도실 전기화재 발생
- ‘22.1. 충북 진천 사찰숙소 전기보일러 화재발생

사찰 화재 안전수칙
사찰 화재로부터 소중한 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리와 예방 노력이 필요합니다.
사찰 화재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안전수칙을 알아봅니다.
- 화재 예방 교육 및 훈련: 사찰 관계자들과 주민들에게 화재 예방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제공합니다. 소방시설의 사용법, 화재 발생 시 초기 진화 방법 등을 교육하여 화재 예방 의식을 높입니다.
- 소방시설 유지 및 점검: 소화기, 소화전, 방수총 등의 소방시설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유지보수합니다. 이를 통해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 가연물 관리: 사찰 내에서 가연물질을 최소화하고, 주방, 보일러실 등 화기 취급시설 주변의 가연물을 제거합니다.
- 전기 시설 관리: 전기 시설에 누전 차단기, 배선용 차단기 등 안전장치를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점검합니다.
- 목조 건축물 관리: 사찰 건물이 목조 건축물인 경우, 목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화재 예방 대책을 시행합니다.
- 초기 진화 대응: 화재 발생 시 초기 진화를 위한 소화기, 소화전 등을 적절히 배치하고 빠른 소방차 도착을 위해 사찰 위치를 고려합니다.
- 문화재 보호 및 안전 관리: 국보, 보물 등의 문화재를 소유하고 있는 사찰은 특히 화재 예방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합니다. 문화재의 안전한 관리와 보호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사찰 방문시 주의해야 할 점
- 연등 관련 설비 및 화기취급시설: 연등이나 촛불을 다룰 때 안전한 사용법을 숙지하시고, 화기취급시설을 적절히 관리해 주시기 바랍니다.
- 소화기, 단독경보형감지기등 기초소방시설 유지관리: 소화기와 경보기 등 소방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옥외소화전 설비 및 자동화재탐지설비확인: 사찰 주변에 있는 소화전 설비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작동 여부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사찰 주변 화재위험 요인 제거: 주변에 화재 위험이 될 수 있는 물건이나 시설을 제거하고, 화재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