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산불 총력 대응으로 산불 피해 최소화

봄철 산불 총력 대응으로 산불 피해가 최소화되었습니다.

정부 관계기관과 지자체가 협력하여 철저한 산불 대비 태세를 구축하고 국민이 적극적으로 산불 예방에 참여한 결과, 봄철 산불 피해가 줄어들 수 있었습니다.

행정안전부와 산림청은 2024년 1월 1일부터 산불조심기간 종료일인 5월 15일까지 발생한 산불에 대한 피해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봅니다.

봄철 산불 피해 현황

2024년 1월1일부터 5월15일까지 발생한 산불의 피해 면적은 73ha, 피해 건수는 175건이었습니다.

이는 최근 10년간 발생한 산불(3,865ha, 416건)의 평균에 대비하여 피해 면적은 98%, 발생 건수는 58% 감소한 것입니다.

특히 피해 면적은 1986년 산불통계 작성 이후 역대 2번째로 최소 피해를 기록하였습니다.

※ (역대 피해 면적) 49ha(‘12)<73ha(’24)< 3,865ha(10년 평균)

2024년 발생한 산불은 건당 산불 피해 면적이 0.4ha로 최근 10년 평균(9.3ha) 대비 4% 수준이며 연례적인 대형산불도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봄철 산불 주요 원인

산불 주요 원인(원인미상 제외)은 불법소각 42건(26%), 입산자 실화 31건(20%), 담뱃불 실화 27건(17%), 화목보일러 사용 부주의 21건(13%), 작업장 부주의 실화 10건(6%) 등이었습니다.

봄철 산불 피해 최소화 추진 현황

정부는 올해 봄철 산불 피해 최소화를 위해 지자체와 함께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여 총력 대응하였습니다.

행안부는 논‧밭두렁 태우기나 영농부산물 소각 등 불법 소각행위를 차단하기 위해 산림청, 농진청, 지자체와 협업하여 영농부산물 수거‧파쇄를 전년 동기 대비 약 8배가 확대된 약 11만 7천 톤을 처리하였습니다.

지자체는 불법 소각산불 방지 대응반을 구성하고 농‧산촌 마을별 담당공무원이 민간(이장단, 자율방재단 등)과 협업하여 고령 농업인 등 취약계층 대상 집중 대면 계도‧홍보하는 등 소각산불 대폭 감소*에 기여하였습니다.

* 영농부산물 등 불법 소각산불 ’24년 42건, 10년 평균(116건) 대비 63.8%(74건↓) 감소

행안부는 영농부산물 파쇄기 및 진화 장비 확충 등 지자체의 산불 예방과 대응 역량 제고를 위해 특별교부세 100억 원을 선제적으로 지원하기도 하였습니다.

강원‧경북 동해안 9개 시‧군에는 대형산불 예방을 위해 특별교부세 9억 6천만 원을 추가로 긴급 지원하여 위험수목 약 2천 1백 그루를 제거하였습니다.

이는 2023년 강원 강릉지역에서 강풍으로 인해 나무가 쓰러져, 이로 인해 전선이 끊어지면서 발생한 스파크가 대형산불로 이어진 사례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선제적인 조치였습니다.

행안부와 산림청은 산불 신고(112‧119) 즉시 신고내용이 산림청으로 전달되도록 ‘긴급신고통합시스템’을 개선하여 산불신고·접수시간을 평균 3분 이상 단축하였습니다.

산림청은 유관기관 감시카메라를 확대‧연계(7,574대) 활용하여 신속한 초동 대응이 가능하도록 조치하였습니다.

2024년 처음 도입된 해외 대형 임차헬기(7대)를 주요 지역에 배치하고 외국 조종사 국내 지형 숙지 등 사전 임무수행 교육을 실시하여 국내‧외 헬기 간 원활한 임무 수행으로 신속한 초동 진화가 가능토록 하였습니다.

동해안 위험지역에는 산림헬기 전진 배치와 산불유관기관 헬기 공조체계 구축으로 평균 약 2시간 내에 진화를 완료하여 산불 피해감소에 기여하였습니다.

동시다발 대형산불에 대해서는 신속한 대응을 위해 범부처 회의를 개최(12회)하고 산불대응기관 준비태세를 점검(33회)하는 등 범부처가 총력 대응하였습니다.

동시다발 중‧대형산불 등 극한 상황에 대비한 도상훈련을 산불진화기관과 지자체가 합동으로 실시하여 신속한 진화자원 동원 및 사전 주민대피 체계를 강화하였습니다.

2024년 봄철 산불방지 대응결과

출처: 산림청

Leave a Comment

재난안전이야기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