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재의 날(매년 5월25일)

방재의 날은 재해 예방에 대한 국민 의식을 높이고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정한 날입니다. 올해(2024년)는 제31회 방재의 날(5월25일)입니다. 방재의 날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방재의 날 유래

1989년 12월 22일 UN총회에서 자연재해를 극복하기 위해 매년 10월 둘째주 수요일을 세계 자연재해 경감의 날로 지정하도록 각국에 권고, 우리나라는 1994년부터 풍수해를 대비하여 5월 25일을 ‘방재의 날’로 지정·운영하고 있습니다.

1995년도 「자연재해대책법」 제23조에 방재의 날 지정 및 행사 근거를 마련, 舊 소방방재청 개청에 따라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으로 통합·운영하였습니다.

법적 근거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66조의7(국민안전의 날 등)② 국가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민의 안전의식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안전점검의 날과 방재의 날을 정하여 필요한 행사 등을 할 수 있다. <개정 2014. 12. 30.>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제73조의6(안전점검의 날 등) ① 법 제66조의7에 따른 안전점검의 날은 매월 4일로 하고, 방재의 날은 매년 5월 25일로 한다. <개정 2018. 1. 18.>

② 재난관리책임기관은 안전점검의 날에는 재난취약시설에 대한 일제점검, 안전의식 고취 등 안전 관련 행사를 실시하고, 방재의 날에는 자연재난에 대한 주민의 방재의식을 고취하기 위하여 재난에 대한 교육ㆍ홍보 등의 관련 행사를 실시한다.

③ 제2항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안전점검의 날 및 방재의 날 행사 등에 필요한 사항은 행정안전부장관이 각각 정한다.

방재의 날 운영 현황

1994년부터 舊 내무부 주관으로 방재주간을 운영하면서, 지자체별로 재해예방 캠페인 및 취약지역 안전점검 등의 행사를 실시하였습니다.

2005년부터 舊 소방방재청에서 중앙부처 단위 기념행사를 추진하여 유공자 포상 수여, 방재세미나, 재난사진·포스터 전시회 및 방재산업전 등을 연계하여 실시하고 있습니다.

2017년에는 국민안전의 날(4.16)과 중복을 고려하여 방재협회 자체행사로 진행하였습니다.

2018년에는 방재직 워크숍을 연계하여 진행하였고 2019년에는 방재협회 세미나를 연계하여 진행하였습니다.

2020년~2022년은 코로나로 행사가 취소되었습니다.

세계 자연재해 경감의 날 운영 현황

세계재난위험경감사무국(UNDRR)이 주관하여 운영합니다.

1989년부터 매년 10월 둘째주 수요일에 테마를 가지고 기념일을 운영합니다.

출처: 행정안전부

제31회 방재의 날 행사

행정안전부는 2024년 제31회 방재의 날(5.25.)을 맞이하여 5월 23일(목) 정부세종청사에서 국가재난관리 유공자, 재난분야 공무원, 민간인 등 3백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방재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기념식에서는 재난·안전 분야 유공자에 대한 포상 수여, 방재 신기술·제품 홍보, 방재 분야 세미나 등 다양한 행사가 함께 진행되었습니다.

재난 예방과 피해 극복에 공로가 큰 국가재난관리 유공자(개인 10, 단체 2)에 대한 포상(정부포상 10점<훈장2, 포장2, 대통령표창3, 국무총리표창3>, 행정안전부 장관표창 2점)이 수여되었습니다.

유정범 한국열관리시공협회 회장은 2023년에 침수가옥 등 1,074가구의 난방시설을 점검하고 1,085대의 보일러를 수리하는 등 봉사활동으로 이재민 구호와 안전에 기여하여 국민훈장 목련장을 수여받았습니다.

황승의 한국전기안전공사 안전이사는 홀몸 어르신 등 취약계층 가구를 대상으로 전기안전 돌봄 서비스를 추진하여 12,843호의 노후·불량 전기설비를 개선하는 등의 공로로 국민훈장 목련장을 수여받았습니다.

재난 및 안전관리에 관한 신기술이 인증된 제품을 홍보하는 홍보부스(10개소)를 운영하여 방재 신기술을 재난안전 종사자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자리도 마련하였습니다.

정부는 방재 관련 신기술을 인증하여 조달청과 계약시 가점을 부여하고 공공기관이 시행하는 각종 사업에 우선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등 혜택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국가재난관리 유공자 포상 대상자

출처: 행정안전부

Leave a Comment

재난안전이야기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