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안전교육 콘텐츠 400종(다문화·장애학생용 포함 총 2,000여 개)과 신기술을 활용한 안전교육 콘텐츠 6종이 개발되어 7월 1일부터 전국의 모든 학교에 보급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봅니다.
교육부는 지난 5년간의 학교안전사고 통계와 사례를 분석한 결과, 학교 안전사고의 대부분이 교육활동 중에 발생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체육활동, 현장 체험학습, 실험·실습 등 교육활동을 주제로 각 학교급별(유치원, 초등 1~3학년, 초등 4~6학년, 중학교, 고등학교)로 80편씩 총 400종의 맞춤형 안전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였습니다.
장애학생을 위한 수어(400편) 및 화면해설(400편), 다문화 학생을 위한 영어(400편) 및 베트남어(400편) 자막 등 다양한 버전의 콘텐츠 1,600개를 개발하여 총 2,000여 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언어나 신체의 불편함으로 인해 안전교육에 취약한 학생들까지 촘촘히 지원합니다.
확장 가상 세계(메타버스) 콘텐츠 5종, 가상현실(VR) 콘텐츠 1종을 개발해 ‘위캔버스(https://www.wecanverse.co.kr)*’에 탑재하고 안전체험시설을 방문하기 어려운 도서벽지 학생들이 가상세계에서 시·공간의 제약 없이 안전 체험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위캔버스 : EBS와 한화시스템이 공동 개발한 교육용 확장 가상 세계(메타버스) 플랫폼
교육부와 학교안전공제중앙회는 학교 현장에서 안전교육 콘텐츠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전국의 안전교육 담당 선도교원 200명을 초청하여 콘텐츠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와 활용 방법을 안내하고 콘텐츠를 직접 체험하는 시연회를 개최하였습니다.(2024.6.26.)
이번에 개발된 안전교육 콘텐츠는 학교안전정보센터 누리집(https://www.schoolsafe.kr)에 탑재되어 있으며 학생, 학부모, 교사뿐 아니라 일반 국민도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 없이 콘텐츠 조회가 가능하고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학생이 내실 있는 안전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일반 학생뿐 아니라 취약계층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안전교육 콘텐츠 보급은 중요합니다.
맞춤형 안전교육 콘텐츠 활용 사례

교육활동 안전교육 콘텐츠 활용 안내 및 자료 예시
□ 접속방법
ㅇ 검색창에 [“학교안전정보센터” 검색] – [메인화면 상단의 “안전교육 자료실” 클릭] 7대 표준 영역별로 콘텐츠 조회 후 활용

□ 자료 예시
ㅇ 일반학생용 콘텐츠
– 콘텐츠 구성: 학습개요 – 사고사례 – 사고원인 분석 및 안전수칙 – 학습정리

ㅇ 장애(수어·화면해설) 및 다문화(영어·베트남어)학생용 콘텐츠

ㅇ 교수학습지도안 및 학생활동지

ㅇ 메타버스 및 VR 콘텐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