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 중독 사고 예방법

사용하다 남은 농약을 다른 병에 옮기는 등 잘못된 안전습관으로 농약 중독 사고가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농약 중독 발생 현황과 사고 예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소방청은 잘못된 안전습관으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생활 속 안전습관 만들기’ 활동을 통해 대국민 인식 전환에 나섭니다. 그 첫 번째는 작은 안전습관으로 치명적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농약 중독 사고입니다.

2023년 농약 중독으로 119구급대가 출동한 건수는 337건(자살 및 타살 의심, 사고기전이 명확하지 않은 사고는 제외)으로 그 중 농약을 다른 병에 담는 등 음료로 착각하여 마신 건수가 55건, 전체의 16%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농약 중독 원인

농약 중독의 원인으로는 △농약살포 225건 △음료로 착각하여 섭취 55건 △잔류농약 중독 31건 △농약취급 25건 △벼룩 퇴치 1건으로 나타났습니다.

농약 중독 사고 유발 행위

농약 중독 사고를 유발하는 행위로는 △농약병을 재사용하여 물병으로 사용하거나 △농약의 종류를 알기 위해 냄새 맡기 △농약을 뿌린 후 손을 씻지 않고 음식(빵·사탕 등)을 먹거나 맨손으로 땀 닦기 농약 봉투 입으로 뜯기 농약 뿌린 후 바로 농작물 먹기 등이 있었습니다.

농약 중독 사고 발생 현황(2023년)

월별 발생현황은 7월이 73건(21.7%)으로 가장 많았고, 6월 65건(19.3%), 8월 54건(16%) 등으로 특히, 날이 더운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소방청

지역별로는 경기49건(14.5%), 경북 48건(14.2%), 충남 47건(13.9%), 경남 40건(11.9%), 전북 37건(11%), 전남 32건(9.5%), 제주 24건(7.1%), 충북 22건(6.5%), 강원 16건(4.7%), 대구 8건(2.4%), 서울 3건(0.9%), 인천 2건(0.6%), 울산 2건(0.6%), 광주 2건(0.6%), 대전 2건(0.6%), 세종 2건(0.3%), 부산 1건(0.3%)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인구수 대비로는 제주>충남>전북>경북>충북 순으로 높게 나왔습니다.

지역별 발생 건수
출처: 소방청

성별로는 남자 231명(68.5%), 여자 106명(31.5%)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대별로는 61~70세 111명(32.9%), 71~80세 99명(29.4%), 51~60세 54명(16%), 81세 이상 47명(13.9%) 순으로 나타났으며, 60세 이상이 257명(76.3%)으로 높게 나왔습니다.

시간대별로는 9~12시 71건(21.1%), 12~15시 65건(19.3%), 15~18시 56건(16.6%) 순으로 주로 활동하는 시간대(9-18시)가 192건(57%)으로 많이 발생했으며 밤에는 음료로 착각하고 마시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출처: 소방청

농약 중독 사고(사례)

사고기전은 농약살포 225건(66.8%), 음료로 착각 55건(16.3%), 잔류농약 31건(9.2%), 농약취급( 농약 병뚜껑을 따거나 희석할 때, 그리고 운반 중 눈이나 피부에 튀는 경우)25건(7.4%), 벼룩퇴치 1건(0.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1. 농약살포

  • ▶ 플라스틱 농약통 펌프질을 하다가 농약통이 터지면서 눈에 농약이 들어감
  • ▶ 농약 작업 중 농약호스가 터지면서 눈에 농약이 튐
  • ▶ 제초제 뿌리는데 그 근처에서 풀 뽑는 작업을 했고 가슴통증 호소
  • ▶ 농약을 치다가 바람이 불어 농약이 얼굴쪽으로 와 눈이 뿌옇게 보이고 볼 통증
  • ▶ 이앙기에 제초제(롱제로)가 있었고 바람에 휘날려 입과 코로 흡입
  • ▶ 농약 뿌리다가 호스를 놓치며 호스로 양측 눈 부딪히고 제초제 좌측 눈으로 비산
  • ▶ 고압분사기로 농약을 뿌리던 중 뒤에 사람이 있는 줄 모르고 뒤돌아서서 상대 양쪽 눈에 분사
  • ▶ 농약통을 지고 약을 뿌리다가 앉았다 일어나면서 농약이 등에 흘러 통증 호소

2. 음료로 착각

  • ▶ 생수병에 우유인줄 알고 반모금 마심(나무에 뿌리는 약)
  • ▶ 예초작업 중 식혜로 오해하고 제초제(근사미)를 한모금 마셔 속쓰림
  • ▶ 마쿠피카 구매하기 위해 농협 방문하여 주문한 농약 기다리던 중 농협 직원이 건넨 농약을 유산균 음료로 착각하여 마심

3. 잔류 농약

  • ▶ 화분에 농약을 쏟고 분갈이 하려 흙을 만진 후 두통 및 전신통, 가슴답답 호소
  • ▶ 제초제 묻은 손으로 땀을 닦다 눈에 성분이 들어가 통증과 함께 시야가 흐려짐
  • ▶ 농약(캐치온, 오티바) 뿌린 블루베리를 몇 알 먹은 후 기운이 없고 구토, 설사
  • ▶ 제초제 뿌리고 들어온 배우자가 사용한 수건을 이용 후 발진과 따가운 증상
  • ▶ 제초제 작업 후 맨손으로 고추 따고 얼굴 만짐. 피부발진, 가려운 증상
  • ▶ 제초제를 뿌린 풀을 만지고 손을 씻은 후 빵을 먹고 입이 얼얼함
  • ▶ 농약 뿌려놓은 잡초 뽑던 중 손 씻지 않고 사탕 까먹고 복통
  • ▶ 제초제(론스타)를 희석할 때 사용한 공병에 실수로 물을 따라 마심
  • ▶ 농약 봉투를 입으로 뜯고 구토와 복통, 어지러움 호소
  • ▶ 가루로 된 농약(살충제) 뿌린 후 손으로 얼굴 땀 닦고 어지러움 호소

4. 농약 취급

  • ▶ 농약을 뜯다가 얼굴 쪽으로 튀면서 눈에 들어감
  • ▶ 농약 원액을 붓다가 눈에 순간적으로 튐
  • ▶ 농약 주입 중 호스에서 나오는 농약 유압수에 눈이 맞아 농약이 눈에 들어감
  • ▶ 농약(스퍽,가루로된 살충제)을 들고 가다가 넘어지면서 농약이 눈으로 들어감
  • ▶ 배추에 약을 치다가 원래 주려고 한 배추약이 아닌 풀약통임을 알았고 냄새를 약 30초 동안 맡고 상복부가 답답하고 두통 호소

5. 기타

  • ▶ 집 안에 벼룩이 있어서 소, 돼지 가축에 뿌리는 농약을 침대에 부었고 새벽에 일어났는데 온몸에 소양감, 통증 있으며 전신 부은 것 같다고 함

농약 중독 증상

농약 중독 증상은 중독경로, 농약성분 및 노출정도에 따라 바로 나타나거나 서서히 나타나는데 두통․어지러움 160건, 오심․구토 134건, 눈 통증 및 흐린 시야 43건, 전신쇠약, 호흡곤란, 피부발적, 호흡곤란, 손발저림 등이 있습니다.

※ 중상은 환자가 호소하는 것으로 복합적인 증상을 얘기할 경우 중복될 수 있음.

농약 중독 현장 응급처치법

  • ▶ 환자 발견 즉시 119신고(환자 위치·증상 설명)
  • ▶ 즉시 농약에 오염되지 않은 곳·환기가 잘 되는 곳으로 환자 이동
  • ▶ 피부오염의 경우 오염된 옷을 제거하고 흐르는 물로 세척
  • 처치자 보호를 위해 비닐장갑 착용 및 오염된 옷은 가급적 비닐봉투에 담기
  • 구토에 대비하고 억지로 구토를 유발하는 행위는 금지
  • 의식이 없는 경우 환자를 옆으로 눕혀 구토에 대비
  • 가급적 중독된 약병을 가지고 병원 이동(단, 시간 지체 금지)

출처: 소방청

농약 중독 예방법

  • ▶ 쓰고 남은 농약은 절대 음료수병에 담아 보관 금지
  • 원래 농약병에 그대로 보관하는 것이 안전(주의사항·응급처치 사항이 병에 표기)
  • ▶ 빈 농약병의 재사용 금지
  • ▶ 농약 취급*개인보호장비 착용(보호복·보호안경·적정 마스크·장갑 등)
  • * 농약 병뚜껑을 따거나 희석시킬 때, 농약 살포 시 등
  • ▶ 사용하지 않는 농약은 반드시 밀봉
  • ▶ 농약 보관은 잘 환기되고 서늘하고 어두운 장소에 보관(고온·직사광선 ×)
  • ☞ 고온 환경의 경우 농약병이 갈라져 농약이 새어 나올 수 있음
  • 농약살포 시 주변에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고 바람을 등지고 살포
  • ▶ 농약을 옮길 경우 음식물과 같은 공간 두지 않기
  • ▶ 농약 취급 후 세척(농기구·손 세척/샤워) 및 농작물 섭취 시 철저한 세척 필요
  • 농약 살포 중 얼굴 등 피부를 직접 만지는 행위 금지
  • ☞ 가방 등에 넣어 둔 오염이 안된 (손)수건으로 땀 등을 제거
  • ▶ 농약이 세거나 흘러 나온 경우 즉시 닦아 내고 밀봉 후 버리기
  • ▶ 농약 살포 장소에서 음식물 섭취 및 흡연 금지

출처: 소방청

출처: 소방청

농약 안전상식

Q. 농약은 모두 액체인가요?

A. 고체형, 가루형 등도 있습니다.

Q. 농약은 어떻게 중독되나요?

A. 호흡을 통해 들어오거나, 입·피부·눈에 튀어 중독되기도 합니다.

특히, 더운 날씨에 땀을 흘릴 경우 피부로의 중독이 더 심해집니다.

Q. 농약중독 증상은 무엇이 있나요?

A. 중독경로에 따라 두통/어지러움, 오심/구토, 가슴답답/호흡곤란, 전신쇠약, 복통/설사, 피부발진, 구강 통증 등을 호소합니다.

단, 감기나 온열손상과 비슷하여 착각할 수 있습니다.

Q. 농약중독 증상은 바로 나타나나요?

A. 농약 종류/양, 중독 경로 등에 따라 바로 나타나거나 늦게 나타납니다.

Q. 농약병에서 농약이 왜 세어 나오는 건가요?

A. 농약병 취급 부주의, 날카로운 것에 손상, 고온에 보관, 기계에 넣을 때

출처: 소방청

Leave a Comment

재난안전이야기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