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 사고 예방

농기계 안전사고 철저 대비

본격적인 영농철이 시작됨에 따라 농기계 사용량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농기계 사고 예방은 모든 농업 활동의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위해 사용자들은 항상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적절한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영농철을 맞아 농기계 안전사고와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 겨우내 보관했던 농기계 점검과 정비가 필요합니다. 겨우내 보관한 농기계를 정비하지 않고 바로 사용하면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큽니다.

농기계 점검·정비 필수

4월은 본격적인 영농기는 아니지만, 겨울 동안 세워두었던 농기계를 점검, 정비하는 것이 중요한 시기입니다.

  • 사고를 예방을 위해 농기계를 정비할 때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고 시동을 끄도록 합니다.
  • 농기계 회전체 덮개 등이 손상되었을 때는 혹시 모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즉시 교체해 줍니다.
  • 우선 농기계에 쌓인 먼지, 흙을 털어내고 녹이 슨 부분은 기름을 칠합니다. 각 부위의 배선을 비롯해 볼트나 너트가 풀린 곳이 없는지 확인하고 윤활유는 정기 점검 목록에 따라 필요한 곳에 넣어줍니다.
  • 엔진오일과 미션오일 등은 양이나 상태를 점검해 보충하거나 교환합니다. 냉각수가 새는 곳이 없는지, 양은 적당한지 확인 후 부족하면 보충합니다. 냉각수 색이 변했거나 부유물이 많으면 바꿉니다.
  • 공기 거르개(에어클리너)는 건식이면 필터 오염 상태를 봐 청소하거나 교환합니다. 습식이면 경유나 석유로 닦아줍니다. 배터리는 윗면 점검창에서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단자가 부식됐거나 하얀 가루가 묻어 있으면 청소한 후 그리스를 바릅니다.

농기계 사고 유형과 원인

농기계 사고는 농업 작업 중 발생하는 기계 관련 사고로, 주로 농업 활동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계들이 관련됩니다. 이러한 사고는 작업 환경의 특수성과 기계의 복잡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농기계 사고 유형과 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넘어지거나 깔리기: 농기계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사고는 비교적 흔합니다. 특히 경사진 지형이나 불안정한 토양에서 작업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충돌: 농기계 간 또는 농기계와 다른 장애물 간의 충돌은 심각한 사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작업장이 협소하고 복잡한 경우에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작업자 부상: 농기계 운전 중 작업자의 부상은 농기계 사고 중 주요 원인입니다. 작업자가 기계와 접촉하거나 떨어지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기계 고장: 농기계의 기능적 또는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동장치의 고장 또는 조종 장치의 오작동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 불안정한 운전 조건: 날씨 조건이나 지형적 제약으로 인해 운전 조건이 불안정할 때 농기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오류: 운전자의 부주의, 미숙 또는 안전 절차 무시 등 사용자 오류도 농기계 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농기계 사고 주의 할 사항

농기계 사고 예방은 농업 활동 중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농기계는 고도로 위험할 수 있으며 부주의한 사용은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농기계 사용자들은 다음과 같은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 교육과 훈련: 모든 농기계 사용자들은 해당 장비의 안전한 운영 방법을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제조사의 권장사항을 따르고, 필요한 경우 안전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 유지보수: 농기계는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부실한 유지보수는 기계 고장과 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개인 보호장구 사용: 농기계 작업 중에는 안전모, 안전경, 장갑 등의 개인 보호장구를 착용해야 합니다. 특히 농작업 중에는 낙상 및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대를 착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운전 시 주의: 농기계를 운전할 때는 주의 깊게 운전해야 합니다. 속도를 적절히 조절하고, 경사진 지형이나 미끄러운 표면에서는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 작업 환경 고려: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농기계를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기울어진 지형이나 좁은 공간에서는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 긴급 상황 대비: 사고나 긴급 상황에 대비하여 비상 상황 대응 계획을 갖추고, 응급 연락망을 숙지해야 합니다.
  • 아동 및 비전문가 관리: 농기계는 비전문가나 어린이에게는 절대로 접근하거나 사용하게 해서는 안 됩니다.

농기계 취급 조작 방법

농작업은 작업 대상도 다양하고 작업환경도 다양하며, 때로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 작업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익숙한 작업환경이라고 마음을 놓고 있다가 자칫 큰 사고를 부를 위험이 있습니다. 농기계는 우선 취급조작방법을 충분히 익힌 다음에 운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항상 사고 등 위험에 대비하는 자세를 항상 몸에 익혀두어야 합니다.

농작업에 임할 때는 다른 작업자나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미치는 위험성을 고려하여,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 되었는지 주의를 기울여 작업을 해야 합니다. 특히 어린이가 주변에 있는 경우에는 작동중인 농기계에 접근하지 않도록 사전에 충분한 주의를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힘든 일을 대신 해주는 편리한 농기계. 자칫 방심하거나 잘못 사용하면 무서운 흉기로 변하여 불의에 사고를 부를 수가 있습니다. 안전한 농기계사용! 말보다 실천이 중요합니다.

  • 농기계와 작업복장: 환자, 임산부, 연소자, 미숙련자, 음주 후 등의 정상적인 작업이 어려운 상태에서는 농기계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 농기계에 말려들어갈 우려가 있어서 장갑이나 소매가 긴 옷,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하고 농기계를 다루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신발은 발에 꼭 맞고, 미끄럼 방지가 처리된 안전화를 신고, 작동하고 있는 기계 안으로 머리카락이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모자를 쓰고 작업을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연료 급유와 엔진시동: 화재 예방을 위해 반드시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연료 공급을 해야 하며 특히 급유 중에는 담뱃불 등 화기취급을 절대로 해서는 안 됩니다. 엔진 시동은 반드시 운전석에서 하고 밀폐된 장소에서 장시간 엔진을 가동시키면 가스 중독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작업기 착탈: 작업기를 달고 뗄 때는 작업기 아래로 몸을 넣을 넣어서는 안 됩니다. 작업기에 부착된 스탠드 등을 사용하여 기계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탈착해야 합니다.
  • 등화장치: 도로를 주행하는 모든 농기계는 반드시 방향지시등, 점멸등, 차폭등과 같은 등화장치를 부착해야 합니다. 도로를 주행하기 전에는 반드시 좌우 브레이크 페달을 점검하여 연결하고, 교통법규를 잘 지키면서 주행해야 합니다.
  • 야간 반사판: 야간에 운행할 때 등화장치나 반사판을 부착하지 않은 농기계를 일반차량 운전자가 미리 발견하지 못하여 사고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야간 사고를 대비해 등화장치가 부착되지 않는 농기계는 야간 반사판을 부착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 주. 정차: 농기계를 길가에 세워둘 때는 다른 차의 통행에 위험을 주지 않는 안전한 장소에 세워야 하며, 해질녘이나 야간에는 차폭등 또는 비상등을 켜 놓아서 통행하는 차량에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 내리막길 운전: 내리막길 주행시 클러치를 밟는다든지 변속위치를 중립으로 하여 운행을 해서는 절대로 안 됩니다. 특히 경운기는 경사지의 포장이나 언덕길에서 조향 클러치를 조작하면 평지에서의 조작과 반대방향으로 선회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내리막길에서는 반드시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해야 합니다. 커브 길에서는 속도를 줄이고 운행해야 하며, 긴 작업기를 장착 한 상태에서의 급격한 방향전환은 위험하므로 천천히 앞뒤를 살피며 안전하게 돌아야 합니다.
  • 농로 운행: 농기계를 운전하여 농로에 진입할 때는 기후의 영향으로 변화가 생긴 농로의 상태를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주위를 살피며 천천히 진입하여 농로의 중앙으로 운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농작업을 하기 위해 잡초가 무성하거나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논, 밭에 들어갈 때는 농기계에서 내려 농수로나, 둑의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진입로의 상태를 꼼꼼히 확인한 뒤에 천천히 진입합니다.
  • 휴식: 작업 중 휴식을 할 때에는 기계의 엔진을 정지시켜야 합니다. 진동이 심한 농기계로 작업 할 때는 하루에 8시간 이상 작업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2시간 마다 휴식을 하고, 식사시간 이후에는 10~20분 정도의 휴식을 하는 것이 사고예방에 좋습니다.
  • 오르막길 운전: 오르막길에서는 저속으로 운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좌, 우 독립브레이크 페달을 연결하고 작업기를 내려 무게 중심을 낮추어 줍니다. 경사지에서 작업을 할 때는 앞바퀴가 들리지 않도록 밸런스 웨이트를 부착해야 합니다. 관리기, 보행형 이앙기 등은 오르막길을 주행할 때 앞바퀴가 들리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작업 후 정비, 점검: 농작업을 마치고 농기계에서 내릴 때는 먼저 작업기를 내립니다. 엔진을 멈춘 뒤, 주차브레이크를 걸고 키를 뽑습니다. 점검 및 정비를 할 때도 이와 마찬가지로 엔진을 멈추고 주차브레이크를 걸어놓은 후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관련 동영상: https://vo.la/mLFDM

1 thought on “농기계 사고 예방”

  1. Very good blog you have here but I was curious if
    you knew of any message boards that cover the same topics discussed here?

    I’d really like to be a part of online community where I can get opinions from other knowledgeable individuals that share the same interest.
    If you have any suggestions, please let me know.
    Cheers!

    응답

Leave a Comment

재난안전이야기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