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 안전사고 주의

많은 국민이 즐기고 있는 여가활동 중 하나인 낚시는 수난사고 및 낚시바늘 등 크고 작은 안전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봅니다.

소방청 구급활동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낚시 중 발생한 사고로 소방이 출동한 건수는 총 653건*이었습니다.

* 어업활동 중 사고, 자살 및 사고기전이 명확하지 않은 사고는 제외

낚시 안전사고 유형

주요 사고유형은 △낚시바늘에 다침 268건(41%) △넘어짐(쓰러짐)/미끄러짐 184건(28.1%) △물에 빠짐 80건(12.3%) △물림/쏘임 49건(7.5%) △떨어짐 36건(5.5%) △부딪힘 15건(2.3%) △일산화탄소 중독 5건(0.8%) △기타 16건(2.5%) 순이었습니다.

특히, 다른 사람이 던진 낚시바늘에 다친 경우도 26건에 달했으며, 낚시 관련 물에 빠지는 등 수난사고의 경우 바닷가가 19건(23.7%)으로 가장 많았고, 물림/쏘임의 경우 물고기에 의한 사고가 33건(67.3%)*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 미역치 8건, 쏠종개 3건, 쎄미 2건, 쑤기미 2건, 열기 1건, 쏨뱅이 1건, 바다메기 1건 등

2023년 월별 낚시 안전사고 발생 현황

월별 발생현황 △10월이 111건(17%)으로 가장 많았고 △9월 101건(15.5%) △8월 75건(11.5%) 등으로 가을철에 많이 발생했습니다.

출처: 소방청

2023년 지역별 낚시 안전사고 발생 현황

경남 104건(15.9%), 충남 79건(12.1%), 경기 78건(11.9%), 전남 70건(10.7%), 강원 61건(9.3%), 경북 58건(8.9%), 전북 39건(6%), 부산 38건(5.8%), 인천 37건(5.7%), 제주 34건(5.2%), 충북 16건(2.5%), 울산 15건(2.3%), 서울 7건(1.1%), 대구 7건(1.1%), 광주 4건(0.6%), 대전 4건(0.6%), 세종 2건(0.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소방청

2023년 성별, 연령대별, 시간대별 낚시 안전사고 발생 현황

성별로는 남성 581명(89%), 여성 72명(11%)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8배 이상 많았습니다.

연령대별로는 50대(51~60세)가 137명(21%)으로 가장 많았고, 60대(61~70세)가 136명(20.8%), 40대(41~50세)가 117명(17.9%) 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시간대별로는 12~15시 128건(19.6%), 15~18시 123건(18.8%), 18~21시 111건(17%) 순으로 오후 시간대에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소방청

특히, 낚시 관련 안전사고로 인한 심정지 발생건수는 총 43건으로 물에 빠짐 26건(60.5%), 갑자기 쓰러짐 11건(25.6%), 떨어짐 5건(11.6%), 일산화탄소 중독 1건(2.3%) 등이었습니다.

낚시 안전수칙

소방청은 안전한 낚시활동을 위해 ➊낚시 중에는 반드시 구명조끼 착용 ➋ 허가받은 장소에서 낚시(테트라포트 등 금지) ➌ 2명 이상 낚시 활동(부득이한 경우 가족·지인에게 장소 및 돌아올 시간 사전에 알리기) ➍ 차량이나 텐트 등을 이용할 경우 일산화탄소 주의 등을 당부했습니다.

자주 일어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낚시 바늘이나 물고기를 다룰 때에는 장갑을 착용하고, 술을 마실 경우 위급상황 대처능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낙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 미끄럽지 않은 신발을 착용해야 합니다.

사전 준비단계 주의사항

출처: 소방청

현장 및 갯바위 안전수칙

출처: 소방청

사고 사례

낚시 활동 중 사고

  • 낚시줄을 손가락에 감다가 좌측 약지에 바늘이 박힘
  • 잡은 물고기 통에 물을 채우기 위해 물을 뜨러 내려가다 미끄러짐
  • 전신주 전깃줄에 낚시대가 걸리며 감전되어 쓰러졌고 신고자 말에 의하면 환자 약 30초 의식소실 있었다고 함. 환자 양쪽 손바닥(input)과 왼쪽 발등, 오른쪽 발등과 새끼발가락(output) 3도 화상과 오른쪽 허벅지, 왼쪽 다리, 양쪽 손목과 왼쪽 겨드랑이 2도화상
  • 낚시 중 물고기를 놓쳤다며 강 안으로 혼자 들어갔고, “저 사람 죽을뻔한걸 우리들이 물밖으로 건졌어요”라고 함
  • 배낚시를 하다가 배 뒤쪽에서 다른 배가 부딪힌 상황으로 뒤에 있던 간이 화장실이 날라와 요구조자 등과 부딪힘
  • 갯바위 높이 약 4m 높이에서 너울성 파도에 휩쓸려 바다에 빠짐
  • 낚시대가 나무에 부딪힌 후 벌에 쏘였고 확인해보니 나무에 벌집이 있었음
  • 방파제에서 낚시 중 파도가 뒤에서 타격하며 바다 속으로 휩쓸려감
  • 산 밑에서 낚시 중 바위가 굴러오는 걸 보고 피하다가 오른쪽 다리 깔림
  • 낚시대가 물에 빠져 가지러 가다가 저수지에 빠짐
  • 낚시 카페에서 바퀴달린 의자가 뒤로 밀리며 넘어짐
  • 낚시하기 위해 왔고, 차가 저수지로 점점 미끄러져 들어가 브레이크라도 잡자는 생각으로 탑승하였는데, 그대로 저수지로 빠짐
  • 배낚시 중 뜨거운 물 담아둔 통이 넘어지며 화상 입었다고 함
  • 낚시가방 손잡이 당기는 부분에 틈이 있는데 그 부분에 손가락 들어가 있는 상태로 손잡이 위로 당기다 왼손 중지 손톱 위로 1/3가량 절단

낚시 중 심정지(사례)

  • 목격자에 따르면 낚시대가 물에 빠져 가지러 가다 저수지에 빠졌다고 함
  • 저수지 제방 하류에서 그물로 물고기를 잡던 중 물이 불어나자 뭍으로 나오던 중 미끄러지며 물살에 휩쓸린 것으로 추정
  • 낚시하다 계단에 넘어져 머리 부딪혔고 해상 추락했다 함

사고 예방법

사전 준비

  • 갯바위나 배낚시 등 바다에 빠질 위험이 있는 경우 구명조끼 착용
  • 허가받은 장소에서 낚시 활동(그렇지 않은 곳에서의 낚시는 위험)
  • 낚시 전 위험한 것이 있는지 주변 확인(전선·벌집·낙석위험 지역 등)
  • 안전 물품 가져가기
  • ☞ 식수·전등·벌레 기피제·핸드폰 및 보조배터리·복용약-혈압약/당뇨약- 등
  • 적정 복장 착용 및 햇빛 차단제 도포
  • ☞ 겨울엔 보온·여름엔 시원한 옷과 모자, 미끄럽지 않은 신발 등
  • 다치지 않도록 낚시바늘 및 칼 등 날카로운 물체는 안전하게 보관
  • 안전을 위해 2명 이상 낚시 활동(혼자 낚시하는 것은 위험)
  • ☞ 부득이한 경우 가족·지인에게 사전에 낚시 가는 장소 및 돌아올 시간 알려주기

현장 안전

  • 쏘이거나 찔리지 않게 물고기를 만질 경우 장갑 착용
  • 낚시바늘에 미끼를 달거나 물고기를 뺄 때 주의하기
  • 낚시대를 던질 때 주변에 사람이 있는지 확인
  • 낚시 중 음주는 위험
  • ☞ 실제로 발을 헛디뎌 물에 빠지거나 위험한 순간 대처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임
  • 낚시 중 번개가 치는 경우 활동을 중지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
  • ☞ 배인 경우 선실, 낚시터인 경우 실내, 기타 차량 안 등으로 대피

갯바위 낚시 안전

  • 낚시 장소가 안전한지 확인(파도 및 위험한 경우 대피장소와 계획)
  • 안전을 위해 구명조끼 착용하고 긴 장화는 착용 금지
  • ☞ 물에 빠질 경우 장화에 물이 차서 더 위험
  • 최소 3명 이상이 서로 보이는 장소에서 낚시활동 진행
  • ☞ 한 명이 바다에 빠지는 경우 한 명은 도와주고 다른 한 명은 신고
  • 미끄럽지 않은 신발 착용 및 미끄러운 장소(이끼·진흙이 있는 곳) 주의

Leave a Comment

재난안전이야기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