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추운 날씨로 눈과 서리 등이 도로에 얼어붙어 발생하는 빙판길 교통사고에 각별한 주의가 요청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봅니다.
최근 5년간 빙판길 교통사고 현황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2019~2023)간 도로살얼음*(Black ice) 등으로 발생한 빙판길 교통사고는 총 3,944건으로, 이 사고로 95명이 사망하고 6,589명이 다쳤습니다.
* 도로살얼음(Black ice): 눈이나 비, 서리 등이 도로에 스며들어 얇게 얼어붙는 도로 결빙 현상으로 짙은 아스팔트 색이 얼음에 투과되어 검게 보이고 육안으로 식별 어려움
시기별로는 전체 사고의 절반 정도(49%, 1,939건)가 한겨울 초입인 12월에 집중 발생했습니다.
시간대별로는 하루 중 기온이 가장 낮고, 출근 등으로 차량 이동이 많아지는 오전 8시에서 10시 사이에 사고가 가장 많았습니다.
특히, 이 시간대에는 밤사이 내린 서리 등이 도로에 얇게 얼어붙으며 살얼음이 생기기 쉬워, 운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시간대별 빙판길 교통사고(‘19~’23, 합계) 및 기온* 현황>
기온: * ‘23.12.22. 서울 지역 시간대별 기온(’23년 12월 중 일최저기온이 가장 낮은 날)
빙판길 교통사고 치사율(교통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은 2.4이며, 평소 교통사고 치사율(1.4)보다 1.7배 높았습니다.
도로 종류별로는 차량이 빠르게 이동하고 연쇄추돌 위험이 높은 고속국도 치사율이 18.7로 가장 높고, 차량이 정체되는 도심보다는 외곽의 군도 치사율이 6.3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빙판길 교통사고 치사율 비교>
빙판길 교통사고 예방요령
- 차량 운행 전에는 기상과 도로 상황을 확인하고, 결빙이 발생하기 쉬운 다리 위나 고가도로, 터널‧지하차도 입출구, 급커브, 응달 구간 등에서는 속도를 줄여 안전하게 운전합니다.
- 빙판길에서는 차량 제동 거리가 평소보다 길어지는 만큼 도로 결빙이 의심되는 곳에서는 앞 차와 충분한 안전거리를 유지합니다.
- 급제동·급가속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운전대를 급하게 돌리지 않습니다.
- 겨울철에는 눈길에 대비해 스노우체인 등 월동용품을 상시 구비하고, 미끄럼 방지 효과가 있는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하도록 합니다.
- 해마다 겨울이면 빙판길 교통사고로 인해 안타까운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겨울철 감속과 안전거리 유지 등 안전운전에 각별히 신경 써 주시고, 궂은 날씨에는 되도록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