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 달 5월,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가정의 달 5월, 어린이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아직 위험상황 인식이 부족한 어린이의 경우, 어른들의 각별한 보살핌과 주의가 필요합니다.

어린이 날(5월5일)을 맞아, 안전하고 즐거운 가정의 달을 보내기 위해서는 기본 안전수칙 준수 등 사고 예방을 위한 인식이 매우 중요합니다.

어린이 안전사고 현황 및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사고 예방 안전수칙 등을 알아봅니다.

소방청이 분석한 ‘최근 3년(‘21년~‘23년)간 13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 자료에 따르면 3년간 어린이 안전사고는 총 10만8,759건으로, 해마다 연평균 36,253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월별 어린이 안전사고 현황 (2021~2023년)

최근 3년간(‘21~’23년) 월별 어린이 안전사고 발생건수는 가정의 달인 5월에 가장 많은 11,297건(10.4%)이 발생했습니다.

6월과 7월, 10월이 뒤를 이어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에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는 야외 나들이와 놀이시설 이용 등 가족 단위 활동의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출처: 소방청

출처: 소방청

사고 원인별 어린이 안전사고 현황

사고 원인별로는낙상 및 추락사고 39,256건(43%)이 가장 많았으며 교통사고 23,980건(26.2%), 열상 12,066건(13.2%) 순이었습니다.

교통사고 3건 중 1건은 자전거 사고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교통사고 중 자전거 사고가 8,049건(33.6%)로 가장 많았고, 차량에 동승한 경우 7,666건(32%), 보행자 사고가 5,489건(22.9%)으로 분석됐습니다.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갑자기 도로로 뛰어들거나, 도로 또는 차량 주변에서 놀지 않도록 하는 등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에 대한 기초교육이 필요합니다.

출처: 소방청

연령대별 어린이 안전사고 현황

연령대별로는 영유아 등 1세 이하에서 21,655건(19.9%)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2~13세 18,809건(17.3%) 가 뒤를 이었습니다.

출처: 소방청

발생 장소별 어린이 안전사고 현황

발생 장소별로는 절반에 가까운 47.4%가 집(가정)에서 발생했고, 도로 및 도로 외 교통지역이 26,536건(24.7%)으로 나타났습니다.

0~1세 이하 영유아 사고의 대부분이 침대나 소파에서 떨어지거나 미끄러지는 등 가정에서 발생하는 만큼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설치 등이 필요합니다.

출처: 소방청

발생 시간대별 어린이 안전사고 현황

시간대별로 보면 오후 4시~6시 사이가 20,740건(19.1%)으로 가장 많았고, 오후 6시~8시가 19,638건(18.1%)으로 뒤를 이어 하교 시간에 어린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소방청

출처: 소방청

안전한 놀이시설 이용을 위한 놀이기구별 안전수칙(공통사항)

  • 영유아는 보호자의 동반하에 놀이기구를 이용해야 한다.
  • 사용하는 놀이기구가 이용자의 연령에 적합한지 확인해야 한다.
  • 사용하는 놀이기구별 안전수칙대로 이용한다.
  • 놀이에 부적합한 끈이 달린 옷 또는 슬리퍼 등을 착용하거나 책가방, 장난감 등을 소지한 채 놀이기구를 이용하지 않는다.
  • 난간과 밧줄이 있는 놀이기구는 항상 두손으로 잡고 이용한다.
  • 한여름 또는 눈이 올 때는 놀이기구가 뜨겁거나 미끄럽지 않은지 확인 후에 이용한다.
  • 놀이기구가 젖어있거나 어두울 때는 사용하지 않는다.
  • 놀이시설에 위험한 물건이 있거나 위험한 상태로 되었을 때 또는 다친 사람이 발생하였을 때 놀이를 중단하고 즉시 도움을 요청한다.
  • 놀이기구를 소중히 이용하며, 낙서하거나 부착물을 훼손하지 않는다.
  • 놀이기구는 차례대로 이용하고, 사용 인원을 초과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 놀이기구 주변에서는 야구, 축구, 배드민턴, 공놀이, 자전거 타기 등을 삼가야 하며, 휠체어, 유모차, 자전거 등을 세워 두어서도 안 된다.

출처: 국민재난안전포털

Leave a Comment

재난안전이야기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