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산악사고 집중 발생, 안전수칙 준수

가을철을 맞아 산을 찾는 이들이 증가하면서 산악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산행 시 안전수칙 준수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봅니다.

최근 3년간 산악사고 구조활동 실적

소방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3년 동안 전국 산악사고 구조건수는 총 33,236건이며, 구조 인원은 2021년 8,348명, 2022년 8,706명, 2023년 8,113명으로 연평균 8,389명​에 이릅니다.

출처 : 소방청

최근 3년간 월별 산악사고 현황

월별로는 날씨가 선선해지는 9월부터 급증하기 시작해, 9월과 10월 두달 간 전체 출동 건수의 25%가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 소방청

2023년 사고유형별 산악사고 현황

2023년 사고원인(유형)별로는 실족 및 추락, 길 잃음, 개인 질환, 야생식물섭취 등 다양하게 나타났습니다.

출처 : 소방청

산행시 안전수칙

  • 기상정보 확인 및 나홀로 산행 자제
  • 개인의 체력과 당일 컨디션 고려하여 등산코스 정할 것
  • 일찍 산행을 시작하고 해지기 전 하산
  • 등산 전 가벼운 준비운동
  • 큰 온도차에 대비한 가벼운 겉옷 준비
  • 지정된 등산로 벗어나지 않기
  • 음주산행 금지

산악사고의 경우 지형 특성상 응급환자 발생시 신속한 출동 및 이송에 어려움이 있어 소방헬기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에 전국 32대의 소방헬기는 긴급 출동태세를 갖추고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있습니다.

만약 ​산행 도중 사고가 발생할 경우 등산로에 설치된 국가지점번호 및 산악위치표지판, 익숙한 지형지물을 확인한 후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출동을 기다리는 동안 간이구조구급함에 비치된 비상 의약품으로 응급처치 후 구조대가 올 때까지 침착하게 기다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일교차가 큰 가을철에는 산행전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일몰전에는 하산할 수 있도록 자신의 체력에 맞는 코스 선택이 중요합니다.

특히 지정된 등산로를 벗어나거나 음주후 산행은 매우 위험하므로 산행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Leave a Comment

재난안전이야기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